메뉴 닫기

어울리지 않는 일(잠 19:8-10)

오늘은 잠언서 19장에서 세 절의 말씀을 함께 읽었는데요. 8절과 9절과 10절의 말씀이 각각 그 내용이 다릅니다. 잠언서의 특징이 그렇죠. 어떤 논리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라기보다는 여러 개의 잠언을 모아놓은 책이기 때문에, 연결이 되기보다는 하나씩 하나씩 매 절마다 이렇게 독특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오늘은 그 세 절을 살펴보게 되겠는데, 8절·9절·10절을 살펴보게 되겠는데 그 내용들은 이미 우리가 이전에 잠언서를 강해하면서 살펴보았던 내용들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에, 사실 오늘은 그렇게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다시 한 번 예전에 함께 생각해 보았던 그 주제를 기억하고, 우리 삶의 교훈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우선 잠언서 19장 8절 말씀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지혜를 얻는 자는 자기 영혼을 사랑하고….” 이 말씀을 읽으면서 어떤 의미인가를 좀 봤으면 좋겠는데요. “지혜를 얻는 자는 자기 영혼을 사랑하고, 명철을 지키는 자는 복을 받느니라.” 그렇게 표현해 주고 있습니다. 여기서 ‘지혜를 얻는 자는 자기의 영혼을 사랑한다’, ‘명철을 지키는 자는 복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라고 표현하고 있는데요. 그 말의 의미가 무엇인지 분명하고 쉽게 와닿는 말씀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8절의 말씀을 한 번 깊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겠고요.

9절 말씀은 우리가 익히 잘 아는 말씀입니다. 9절 말씀, “거짓 증인은 벌을 면하지 못할 것이요, 거짓말을 하는 자는 망할 것이니라.” 거짓말을 하는 게 괜찮은 게 아니라는 겁니다. 그 얘기는, 거짓말을 하는 것이 괜찮아 보이는 세상에 우리가 살아가고 있고, 거짓말을 해도 벌을 받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며 오히려 잘되는 것처럼 느껴지는 세상에 우리가 살고 있기 때문에 이 말씀을 기억할 필요가 있겠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항상 기억할 것이 무엇이냐 하면 영원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것이죠. 지금 짧은 기간 동안에는 거짓말이 효과가 있는 것 같고, 짧은 기간 동안에는 거짓말이 무엇인가 유익한 것처럼 느껴질 수 있겠지만, 그러나 좀 더 길게, 영원의 관점에서 본다면 벌을 면치 못한다고 하는 이 말씀을 우리가 다시 한 번 기억해야 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10절 말씀에서도 이렇게 표현하고 있죠. “미련한 자가 사치하는 것이 적당하지 못하거든 하물며 종이 방백을 다스림이랴.” 종이 방백들을 다스리는 것은 정말 적당하지 않다고 이야기해 주고 있습니다. 이 세 절의 내용들이 각각 다른 메시지를 전해주고 있는데, 간단간단하게 살펴보려고 합니다.

우선 잠언 19장 8절을 먼저 살펴보았으면 좋겠습니다. “지혜를 얻는 자는 자기 영혼을 사랑하고, 명철을 지키는 자는 복을 얻느니라” 그랬는데, 이 말씀은 쉽게 이해가 잘 와닿는 표현은 아닙니다. 그래서 원문을 한 번 살펴볼 필요가 있어서 보았는데요. 잠언서 19장 8절에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지혜를 얻는 자는 자기의 영혼을 사랑하며’라고 되어 있는데, 사실 여기서 ‘지혜’라고 번역된 히브리어 단어가 레브(lev)로, ‘마음’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지혜를 얻는 자’로 번역할 수도 있고, ‘마음을 얻는 자’로 번역할 수도 있겠는데, 아무튼 그렇게 보시면 되겠고요.

‘자기의 영혼을 사랑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는데, 여기서 ‘영혼’이라고 번역된 히브리어 단어는 ‘생명’을 의미하는 네페쉬(nephesh)입니다. 그러니까 ‘영혼’으로 번역할 수도 있고 ‘생명’으로 번역할 수도 있어요. 더 이해하기 쉽게 옮기면 “지혜를 얻는 자는 생명을 사랑하는 자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바로 그다음 구절이 “명철을 지키는 자는 복을 얻느니라”인데, 여기서 ‘복’에 해당하는 히브리어는 토브(tov)로 ‘좋은 것’을 뜻합니다. 그래서 “명철을 지키는 자는 좋은 것을 얻는 사람이다.” 이 두 구절을 같이 연결해서 생각한다면, ‘지혜를 얻는 자, 곧 명철을 얻는 자는 어떤 사람인가? 좋은 것을 얻게 될 텐데, 그 좋은 것이 무엇인가? 자신의 생명을 얻게 될 것이다.’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잠언서 19장 8절의 말씀은 지혜를 얻는 사람이 생명을 얻는다는 뜻입니다.

지혜를 얻는 자는 왜 생명을 얻게 될까요? 지혜롭게 행동하는 사람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것, 곧 생명을 얻기 때문이죠. 잠언서가 말하는 지혜는 무엇입니까?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두려워할 줄 아는 지혜가 있는 자가 생명을 얻을 것입니다. 반대로 어리석은 자는 누구입니까? 하나님을 인정하지 않고, 하나님이 없는 것처럼 행동하는 자입니다. 그런 사람은 지금 당장에는 돈과 권력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때로는 거짓말과 모함, 술수와 착취로 원하는 것을 얻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들이 정말로 얻게 되는 것은 **토브(좋은 것)**도, **네페쉬(생명)**도 아닙니다. 어리석은 사람은 결국 무엇을 얻게 됩니까? 망하게 되는 것이죠.

결론은 분명합니다. 하나님이 계시다는 사실을 알고, 하나님을 두려워하면서 하나님께서 미워하시는 일을 버리고 기뻐하시는 일을 행하는 사람은 결국 생명을 얻게 됩니다. 이것이 19장 8절이 주는 교훈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지혜를 얻어야 합니다. 하나님이 계시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하나님을 믿는다고 하면서도 믿는 것처럼 살지 않고 악하게 행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돈과 권력을 이용해 사람을 착취하고 악을 행하면서도 사람들의 박수 속에 안심할지 모르지만, 그것은 영원하지 않습니다. 결국 하나님의 심판 앞에서 망할 수밖에 없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잠언서 19장 9절 말씀은 그렇게 명철하지 못한 사람의 이야기를 합니다. “거짓 증인은 벌을 면하지 못할 것이요, 거짓말을 하는 자는 망할 것이니라.” 지혜로운 사람은 거짓말을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미련한 자는 단기적 이익을 위해 거짓을 선택합니다. 이 세상에서는 거짓이 통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성경은 분명히 말합니다. 거짓 증언은 벌을 면치 못한다. 손해가 난다 해도 진실을 택하고, 잘못을 인정하고 회개하는 것이 결국 유익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잠언서 19장 10절은 이렇게 말합니다. “미련한 자가 사치하는 것이 적당하지 못하거든 하물며 종이 방백을 다스림이랴.” 어리석은 자가 사치로 자신을 치장하고, 종이 방백을 다스리는 것처럼 보이는 일이 있습니다. 세상은 믿음이나 진실보다 외형과 부, 사치를 보며 박수칩니다. 그러나 하나님 보시기에 그것은 옳지 않습니다. 하나님을 인정하지 않는 어리석은 자가 많은 것을 가졌다 해도, 하나님은 그걸 인정하지 않으십니다.

왜 이런 말씀을 주십니까? 세상의 사치와 높은 지위가 참 유익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어리석은 부자의 비유에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곳간을 더 크게 짓고 “내 영혼아 평안히 쉬자” 하던 자에게 하나님은 “어리석은 자여, 오늘 밤 네 영혼을 도로 찾으리니 네가 예비한 것이 누구의 것이 되겠느냐” 하십니다. 하나님 앞에 바로 서 있지 않다면, 많이 가졌어도 미련한 자의 사치일 뿐입니다.

그러므로 오늘 우리는 세상의 성공과 물질에 마음을 빼앗기지 말고, 내가 하나님 앞에 바로 서 있는지, 그 사람이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믿음의 사람인지 보아야 합니다. 우리의 죄성이 세상의 유혹에 쉽게 넘어가게 하지만, 그때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십자가 앞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우리의 연약함 때문에 십자가를 지신 주님 앞에 엎드려,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거룩한 삶을 살도록 은혜를 구합시다.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Loading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